밤을 두렵게 하는 ‘빈뇨’ ‘코골이·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겨울철 밤이 길어지면 자연스레 취침이 빨라지면서 수면시간은 길어진다. 잠은 보약이다. 하지만,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피로감은 물론 비만, 고혈압, 심혈관질환, 치매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잠을 방해하는 요인에는 대표적으로 빈뇨, 코골이·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이 있다.
◈ 화장실 가고 싶어 잠에서 깨시나요? 야간 빈뇨
수면 중 자주 소변이 마려워 깬다면 야간 빈뇨는 아닐지 의심해야 한다. 야간 빈뇨는 60세 이상 노인의 약 70%에서 발생할 만큼 흔한 질병이다. 최근에는 스트레스, 면역력 약화, 호르몬 변화 등으로 인해 40, 50대 여성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원인에 따라 ‘다뇨’, ‘야간 다뇨‘, ’방광 저장 기능 이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다뇨는 하루에 소변이 2,500cc 이상 생성되는 것, 야간 다뇨는 수면 중 소변 생성이 과도하게 이뤄지는 것을 말한다. 방광 저장 기능 이상은 야간에 방광 용적이 감소해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것으로, 과민성 방광, 방광염 등 여러 질환이 동반될 수 있어 치료는 필수다.
경희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이선주 교수는 “많은 경우에 저녁 시간 수분 섭취를 줄이고, 카페인과 음주, 흡연을 삼가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자신의 배뇨 횟수를 확인해본 후 하루 9회 이상 또한 잠에서 깨어 2회 이상 소변을 본다면 병원에 내원해 적절한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 주변 사람 숙면까지 방해하는 코골이 · 수면무호흡증
요즘같이 찬바람이 불어올 때면 공기가 건조해지면서 코골이 환자가 늘어난다. 코가 막히면 코에서 폐까지 넘어가는 숨길이 좁아지면서 떨림 및 폐쇄 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코골이가 지속되면 수면무호흡으로까지 악화될 수 있다. 수면무호흡은 수면 중 기도가 반복적으로 폐쇄되어 산소 포화도가 떨어지는 질환이다. 치료받지 않으면 고혈압, 당뇨, 심근경색, 성기능부전,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성장기 아이들에게서는 키 성장 저하, 인지 학습 장애, 성격 형성 장애, 얼굴형 변형 등의 영구적인 문제를 초래하며, 중증의 수면무호흡 성인 환자로 이행될 확률이 높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만성/진행성 질환으로 방치 기간이 오래될수록 치료가 어려워진다. 이비인후과 및 신경과 검진을 통해 정확한 원인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치료 방법을 처방받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에서는 양압기 치료, 소아에서는 아데노이드 편도수술을 일차적으로 고려하게 되지만, 악안면 골격구조 및 구강구조의 이상으로 인한 기도 협착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는 치과교정학적 골격구조 개선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한다.
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교정과 김수정 교수는 “악안면 골격구조의 문제로 기도 공간이 좁아진 경우, 소아 청소년기에는 성장 잠재력을 이용하여 얼굴형 개선과 동시에 기도를 확장시키는 턱교정 치료를 시행한다”며 “청장년기 중증 환자는 골격구조를 영구적으로 바꿔주는 수술-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노년기에는 수면 중에만 일시적으로 아래턱과 기도를 전방으로 열어주는 구강장치 치료로 삶의 질을 회복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 밤마다 나타나는 다리 저림, 하지불안증후군
하지불안증후군은 잠자리에 들 때 다리에 감각 이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로 다리가 저리거나 쑤시는 느낌, 벌레가 기어 다니는 느낌, 전류가 흐르는 느낌 등으로 표현된다.
이런 불쾌한 증상들은 다리를 움직여야만 사라지기 때문에 숙면을 방해할 뿐 아니라 만성화되기도 쉽다. 단순 불면증이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손발 저림 등으로 오인해 치료받지 않고 방치하거나 엉뚱한 치료를 받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다리에 불쾌감이 들어 어쩔 수 없이 다리를 움직이려는 강한 충동이 들고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 증상이 시작되거나 악화되고 △걷거나 다리를 뻗으면 증상이 완화되고 △저녁이나 밤 시간에 증상이 심해진다면 하지불안증후군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순환·신경내과 권승원 교수는 “하지불안증후군 특유의 감각 이상 증상은 뇌가 철 결핍 상태에 놓여 체내 아데노신A1수용체의 기능이 저하돼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작약은 파에오니플로린이라는 아데노신A1수용체의 활성제 역할을 하는 성분이 들어있어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 출처- 국민건강보험 건강in 건강뉴스에서
댓글목록